반응형

 

폐렴 이란?

 


폐에 생기는 염증이다. 폐렴 쌍구균, 바이러스, 미코플라스마 등이 감염돼서 나타나며 화학 물질이나 알레르기로 일어나기도 한다. 오한, 고열, 가슴 쓰림, 기침,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보인다.


폐의구조-폐와폐포

 

 

폐렴구균 예방백신

 


독감이나 폐렴구균에 의한 폐렴은 예방을 위한 백신이 있다. 물론 폐렴구균 예방백신이 폐렴을 완벽하게 방어해주지는 못하지만 심각한 폐렴 구군 감염증을 줄어주는 효과가 있다. 폐렴은 국내 주요 사망원인 중 3위이다. 호흡기 질환 사망원인으로 1위이고 전체 입원 원인의 3위이다. 그리고 폐렴구균으로 인한 폐렴 평균 치료비용은 약 193만 원이기 때문에 최대한 걸리지 않도록 예방 백신을 맞는 것이 좋다.



 

폐렴구균-예방백신-2가지종류

 

백신 접종 나이


1. 영유아 접종

대상은 생후 2~ 59개월 소아이고 접종시기는 생후 2.4.6개월 3회 기초접종을 한다. 생후 12~ 15개월 사이 1회 추가접종을 한다.

2. 만 65세 이상 고령층 접종

대상은 만 65세 이상의 고령층이고 만 65세 이상에 1회만 접종한다.

 

 

필요성


폐렴은 단순한 호흡기 질환의 하나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극심한 호흡곤란을 초래해 숨 쉬는 것도 지장을 받을 뿐 아니라 제대로 된 조치가 없으면 패혈증으로 발전해 생명에 심각한 지장을 줄 수 있다. 그래서 어린 소아는 물론이고 만 65세 이상 고령층을 포함해 면역력이 저하된 면역저하자 등의 경우 나이를 불문하고 반드시 접종을 해서 혹시 모를 상황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폐렴구균-휴유증-합병증

 

 

가격


예방백신의 종류나 병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보통 12만 원~ 15만 원선이다.

 

폐렴구균 위험군

 


1.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

HIV 감염증, 만성 신부전과 신증후군, 면역억제제나 방사선 치료를 필요로 하는 질환( 악성 종양, 백혈병, 림프종, 호지킨병) 혹은 신장이나 심장 등의 고형 장기 이식, 선천성 면역결핍 환자 등

2. 만성질환자( 면역 기능은 정상)

만성 심장 질환, 만성 폐질환, 만성 간질환, 당뇨병 등

3. 뇌척수액 누출, 인공와우 이식을 맡은 환자( 면역 기능은 정상)

4.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무비증(비장이 없는 질환) 또는 비장 기능 장애 환자, 겸상구 빈혈 혹은 헤모글로빈증

 

 

폐렴구균 예방백신 종류

 


1. 프리베나 13

생후 6주~ 성인까지 전연령대상
13가지 폐렴구균 혈청형에 의한 ( 1, 3, 4, 5, 6A, 6B, 7F, 9V, 14, 18C, 19A, 19F, 23F) 폐렴부터 침습성 질환까지 예방



2. 프로디악스 23

만 18세 이상 만성질환자나 면역저하자 등의 경우 폐렴구균에 대한 항체 생성률이 감소해서 13가 단백접합 백신을 맞았더라도 23가 다당질 백신인 프로디악스 23을 접종하는 것을 권고한다. 프로디악스 23은 만성질환 유무나 면역력에 따라 권고되는 접종 간격 및 횟수가 다르다. 만성질환자는 0,1,5년 간격으로 면역저하자는 0,8주, 5년 간격으로 권고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