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눈이나 눈꺼풀의 안쪽을 둘러싸는 결막에 알레르기로 인한 염증이 생긴 상태를 말한다. 알레르기 질환은 보통 사람에게는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특정 사람에게는 비염, 천식, 가려움 같은 이상 반응을 일으킨다.
알레르기성 결막염 원인
대표적 알레르기 질환으로 꽃가루에 의한 화분증, 집먼지 진드기, 동물의 털 등이 주원인인 알레르기성 비염, 결막염, 천식, 피부염 등이 있다. 요즘에는 실내 생활의 증가, 실내 흡연, 매연, 신소재 개발, 미세먼지 등 알레르기 유발 물질이 급증하여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앓는 사람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 진단
병원에서 세극등 현미경을 통해 결막에만 국한된 염증인지, 각막이나 공막 기타 눈 안쪽에 염증이 있는지 염증 위치를 1차적으로 확인한다. 또 환자의 충혈 정도와 부위, 분비물의 양상, 각막염의 합병 여부 등에 대해 주의 깊게 듣고 진단하여 눈 상태에 맞는 치료를 한다.
알레르기성 결막염 증상
눈이 시리고 가려움이 심하며 빨갛게 충혈되고, 끈적끈적한 눈꼽과 눈물이 나올 수 있다. 또 눈을 심하게 비빈 경우에는 눈 속의 흰자위가 탁구공처럼 부풀어 오르기도 한다.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여러 가지 항원은 눈의 분비물, 충혈, 결막 부종, 가려움증을 야기하며, 흔히 알레르기성 비염이 동반되기도 한다.
결막 부종이 심해지면 젤리같은 물질이 올라오기도 한다. 더 심한 경우에는 눈꺼풀 뒷면에 크고 작은 유두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런 상태가 오래되면 시력이 감퇴하거나 소실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결막염의 앓는 기간은 며칠에서 2주 정도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알레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는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물질이 있는 한 계속 나타나며, 해마다 재발하기도 한다.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료
하루에 3~4번 정도 얼음찜질을 하면 가려움이나 부종을 줄일 수 있다. 눈을 비비거나 만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항히스타민 안약을 점안하거나 인공누액을 자주 점안하면 도움이 된다.
알레르기성 결막염 생활속 관리
치료는 과민성 원인을 멀리하는 방법(화장품을 쓰지 않거나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것 등)이나 과민성 체질을 변화시키는 방법이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지만, 실제로는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래서 안약을 통해 치료하는데 1차 안약으로 효과가 없을 때에는 더 강한 2차 안약을 사용하거나 복용약이 필요할 수도 있다. 간혹 눈을 비비거나 민간요법으로 소금물로 씻는 사람이 있는데, 이런 경우 증상이 악화되므로 절대 하지 말아야 한다.
과민성에 의한 경우가 아니라도 눈에 자극을 주지 않기 위해서는 눈 화장을 하지 않는 않은 것이 좋으며, 얼굴에 바르는 기초 화장품(로션, 크림 등)도 눈에 가까운 속눈썹 주위의 피부에는 바르지 않는 것이 좋다.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등의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약을 복용하거나 주사를 맞아야 할 수도 있다.
'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문증 원인, 증상, 치료방법 (0) | 2022.10.24 |
---|---|
눈 다래끼 종류, 원인, 증상, 치료방법 (0) | 2022.10.19 |
황반변성 원인, 증상, 진단, 치료방법 (0) | 2022.10.11 |
백내장 원인, 증상, 치료, 수술시기, 수술방법, 재발 (0) | 2022.09.27 |
시력저하의 원인 근시의 원인, 억제방법, 치료 (0) | 2022.09.22 |